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모닝짹짹
- 모닝짹짹이
- 온라인교단일기챌린지
- 교단일기
- 학생 상담
- 함께일기는힘이세다
- 짹짹이 월드
- 교사를말할때내가하고싶은이야기
- 퍼즐 대탈출
- 기록의힘
- 514 챌린지
- 구글 프레젠테이션
-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
- 아침 운동
- 미라클 모닝
- 교사성장학교
- 학부모 상담
- 굿짹
- 역사1
- 교단일기출판프로젝트
- 교사의성장이야기
- 2023교단일기
- 2번방
- 학생 기초 자료
- 514챌린지
- 아침 독서
- 514챌린지인증
- 구글 도구
- 글쓰는교사
- 사진 퍼즐 만들기
- Today
- Total
목록에듀테크 (40)
GTMC 찰리쌤과 함께하는 교실 수업

지난 1년간 근무하는 학교에서 EBS 온라인 클래스와 줌(ZOOM)을 주로 사용하였고, 이 두 플랫폼은 교사 중심의 수업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느꼈다. 그렇게 1년을 보내고 이러한 한계에서 벗어날 수 있는 플랫폼을 고민하던 중 구글 도구의 협업 기능에 매력을 느껴 올해는 구글 클래스룸 사용해보기로 결정했다. 이제 첫걸음을 뗀 상황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소개하며 다른 사람들이 이와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았으면 한다. 학생 과제 제출 방법 안내 - 모바일 버전 학생들을 구글 클래스룸에 초대하고 사용법을 익히게 하기 위해 간단한 과제를 제출한 후 수업 시간을 통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런데 학생들이 과제에 접근하는 과정 - 제공된 구글 문서 과제에 글을 쓰는 과정에 대..

이전글 :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 만들기 아래 '더보기'를 눌러주세요. 더보기 1.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 만들기 : hischarlie.tistory.com/19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 만들기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원격 수업이 보편화되면서 학생들에게 수시로 연락해야 하는 상황이 만들어졌다. 1. 줌 링크 오류 및 기기 오류로 인해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 2. 수업 hischarlie.tistory.com 이전 글에 이어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만든 후 공유방법 및 유용한 팁을 소개하겠습니다. 1. 오픈 채팅방 공유하기 - 완성된 오픈 채팅방 상단 공유 선택 - 링크 복사 또는 전달, 공유 선택 후 참여자에게 문자 또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 - 링크를 PC에서 열게 되면 QR 코드 등 다양한 방법..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원격 수업이 보편화되면서 학생들에게 수시로 연락해야 하는 상황이 만들어졌다. 1. 줌 링크 오류 및 기기 오류로 인해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 2. 수업에 참여 독려를 위해 전화해야하는 경우 등등 작년에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연락하기 위해 각 학년 교무실에 학생 전화번호부를 1부 만들어 두고 수시로 연락하였으나 인쇄물로 된 전화번호부는 여럿이 사용하기 번거로웠던 것이 사실이다. 이로 인해 올해는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활용해보기로 결정하고 학급방을 먼저 구성한 후 수업에 들어가는 각 반의 오픈 채팅방을 만들어 운영중이다. 아래는 학년 선생님들께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 만드는 법을 소개한 자료이다. [구글 프레젠테이션 자료] https://docs.google.com/presen..

작년까지는 3월의 혼란이 정리되고 학부모 상담 주간이 다가올 즈음하여 설문을 통해 학부모 상담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였는데, 올해는 이상하게 3월 첫날부터 학생 상담 기초 자료 조사를 안내하였다. (페이스 조절...!) 미리 만들어 둔 구글 설문(hischarlie.tistory.com/11) 주소를 복사한 후 PC톡을 이용하여 안내 메시지 작성. 이후 단체 문자를 통해 인사와 함께 설문 참여 요청. 요청 이후 저녁 10시까지 30명의 학생 보호자 중 21명이 설문에 응답해 주셨다.(이 정도면 엄청 많은 숫자!) 앞으로 찬찬히 살펴보며 학생에 대한 보호자의 생각을 들어야겠다.

길고 길었던 겨울 방학이 지나고 새로운 학년의 시작을 앞두고 있습니다. 올해도 코로나19로 인해 등교 수업과 원격 수업이 병행되는 가운데 제가 담임을 하게 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은 1학년, 3학년이 등교를 마친 후 등교하게 되어 2주 뒤에나 얼굴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 학생 상담 기초 조사 양식 예시(구글 설문 활용) : forms.gle/CSwvQCqM8Y1JSRnA6 개인정보보호법 관한 법률 동의. 개인정보보호법에 관한 법률(제15조,제17조,제22조)시행으로 학기 초 학생 생활기록부 확인 및 기타 교육활동을 위해 수집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각각의 동의 상항을 구분하여 동의를 받도록 하고 docs.google.com feat. 네이버 카페 '돌봄 치유교실 자료 참고(학생 기초 조사서 (자기소개..

안녕하세요. 찰리쌤입니다. 오늘은 협동화 만들기 활동 준비 과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준비물 1. 단순하고 원색 위주의 그림, 2. 포토스케이프(PhotoScape) 프로그램, 3. 배움의 자세 이상 3가지 입니다. 저는 검색어 '짱구'를 통해 아래의 그림을 준비했습니다. 그럼 이제부터 짱구와 친구들의 그림이 포토스케이프 프로그램을 통해 협동화 재료가 되는 과정을 소개하겠습니다. 1. 포토스케이프X(PhotoScape X) 설치 - 포토스케이프는 포토샵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저작권 걱정 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매우 큰 장점입니다. 포털 검색창에 '포토스케이프'를 검색 또는 링크(x.photoscape.org/)를 눌러주세요. - 윈도우10 사용자는 포토스케이프 X를 설치해야 합..

안녕하세요. 찰리쌤입니다. 오늘은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유지되던 2020년 10월에 진행된 교내 체육대회종목 중 하나인 협동화 그리기 과정과 영상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먼저 영상을 보시죠^^*체육대회는 줌(zoom)을 통해 언택트 방식으로 스포츠 영상 시청, OX퀴즈, 협동화 그리기 종목으로 진행되었습니다. 1. 체육 선생님이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반별로 한장의 그림을 학급 인원수에 맞게(우리반은 30장) 나누어 인쇄 후 각 반 반장을 통해 학생들에게 사전에 배부했습니다. 2. 그리고 대망의 체육대회 당일 학생들은 담임 선생님 줌 주소에 접속하여 카메라를 켜고 자신이 받은 그림의 한 부분을 자신만의 표현방식으로 완성한 후 학교에 가져 옵니다. 3. 학교에서는 반장..

안녕하세요. 찰리쌤입니다. 오늘은 구글 킵(keep) 메모 모바일 버전(안드로이드) 설치 및 활용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먼저 구글 플레이스토어 실행 후 검색 창에 "구글 킵(keep)"을 검색 후 설치해주세요. 2. 설치가 끝난 후 "열기" 버튼을 눌러 구글 킵을 실행하면 됩니다.(참 쉽죠~?) 3. 구글 킵(keep) 메모를 실행한 화면입니다. 저는 주로 학부모 상담 일정 관리를 위해 사용하고 있으며, 지난주에 진행된 2학기 학부모 상담 주간을 잊지 않기 위해 메로를 상단에 고정해 두었습니다. 4. 이어서 위젯을 활용하여 메인 화면에 메모를 표시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휴대폰 메인 화면에 빈 공간을 길게 터치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 아래에 보이는 "위젯"을 터치해주세요. 5. 위..

안녕하세요. 찰리쌤입니다. 구글 킵(keep)을 한번 써보시겠습니까^^? 오늘은 PC용 구클 킵(keep) 메모 설치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참고로 이 내용은 IT 유투버 테크몽님으로부터 배웠습니다~*^^*) 아래의 순서를 잘 보시고 따라해 주세요! ⓵ 구글 크롬 실행 후 주소창에 chrome://apps 입력(크롬이 없는 경우에는 크롬을 먼저 설치해주셔야 합니다. ⓶ 이후 화면 오른쪽 아래에 있는 웹 스토어를 클릭해주세요. ⓷ 웹 스토어 검색창에 keep을 누르고 엔터(Enter)!! ⓸ 검색 후 제일 위에 나오는 Google keep Chrome 확장 프로그램 클릭! ⓹ 화면 가운데 있는 관련프로그램을 클릭해 주세요. ⓺ 클릭 후 스크롤을 제일 아래로 내려서 개발자의 프로그램 더 보기를 클릭합..

안녕하세요. 찰리쌤입니다. 구글 킵(keep)을 활용한 메모 및 상담 일정 관리를 소개합니다. 학교에는 매년 2월 인사이동이 끝난 후 새 학년을 준비하면서 교무 수첩(Teacher’s Diary)을 나누어 줍니다. 제가 교무 수첩을 받고 제일 먼저 하는 일은 맨 뒤쪽에 있는 월별 라벨 스티커를 찾아 반듯한 모양으로 스티커를 붙이는 일입니다. 그리곤 교무실 책상에 잘 비치된 채 손때도 묻지 않고 1년을 지나가게 됩니다. 교무 수첩을 잘 활용하여 업무 및 수업에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저는 2가지 이유에서 잘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첫째. 매번 회의나 수업 때 들고 다니기 불편합니다. 생각보다 크고 무거우며, 메모 작성을 위해서는 꼭 펜을 지참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손이 잘 가지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