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역사1
- 아침 독서
- 미라클 모닝
- 교사의성장이야기
-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
- 학생 상담
- 514챌린지
- 모닝짹짹이
- 514 챌린지
- 교사를말할때내가하고싶은이야기
- 구글 도구
- 아침 운동
- 모닝짹짹
- 글쓰는교사
- 2번방
- 사진 퍼즐 만들기
- 교사성장학교
- 514챌린지인증
- 학생 기초 자료
- 구글 프레젠테이션
- 기록의힘
- 2023교단일기
- 퍼즐 대탈출
- 교단일기
- 짹짹이 월드
- 교단일기출판프로젝트
- 학부모 상담
- 굿짹
- 온라인교단일기챌린지
- 함께일기는힘이세다
- Today
- Total
목록찰리쌤의 역사 수업/수행 평가 (2)
GTMC 찰리쌤과 함께하는 교실 수업
코로나19 이전 2019년에 학생들과 진행했던 수행평가 사례를 소개합니다. 중학교 2학년 역사1에서 한국의 문화재를 소개하는 팜플랫 만들기 활동을 진행하고 평가했습니다. 학생들이 문화재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에 만공 한국사에서 나온 만들기 키트를 구입하여 2인 1조로 제공하여 문화재를 직접 만든 후 팜플랫을 만들고, 친구에게 소개하는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1. 평가 계획 2019년 1학기에는 지필평가 1회, 수행평가 3가지 영역을 진행했었습니다. 2. 평가 사례 총 3시간을 계획하였으나 실제 운영시에 시간이 조금 더 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당시 학생들에게 설명하기 위해 정리해둔 PPT사진으로 소개하겠습니다. 3. 진행 후 소감 사실 벌써 2년 전 사례라 소감이라 할 것은 없지만.. ..
1. 매년 수행평가를 진행하면서 학생들은 논술 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적고, 교사는 학생의 글을 읽고 평가하는 1회성 평가로 끝을 냈다. 2020년 과정형 평가에 대해 생각하게 되면서 수행평가 과정에서 학생이 다른 학생과 생각을 나누고, 자신의 글을 고쳐 쓸 수 있다면 과정을 통해 성장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과 함께 [논술 작성] - [의사 소통] - [고쳐 쓰기]의 단계로 평가 기준을 설정해 보았다. 2. 논술 평가 중 의사소통 단계는 등교 수업 시 모둠별로 작성한 글을 돌려 읽는 형식으로 계획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모둠별로 앉는 것과 다른 친구의 종이를 돌려 읽는 것 자체가 문제가 될 수 있었기 때문에 온라인에서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당시 학교에서 사용중인 온라인 클래스의 교과방을..